Multi-User리눅스는 시스템이 가동되는 방법을 7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이것을 런레벨이라고 한다
런레벨을 사용하는 방법은 init 숫자 이다
런레벨 |
모드 |
설명 |
0 |
Power Off |
시스템 중지 |
1 |
Rescue |
단일 사용자 모드 로그인 과정 없이 root 계정으로 로그인 시스템 복구,점검 ,root계정 패스워드 초기화등 시스템 관리목적으로 사용한다 |
2 |
Multi-User |
네트워크를 지원하지 않는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여러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
3 |
Multi-User |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텍스트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여러 계정으로 로그인 가능 |
4 |
Multi-User |
사용되지는 않는 모드 (설정을 통해 사용자가 정의해서 사용가능) |
5 |
Graphical |
그래픽 모드의 다중 사용자 모드 (X Window 같은 그래픽모드를 지원하는 경우만 작동) |
6 |
Reboot |
시스템 재시작 |
표에 있는 런레벨을 확인하고 싶다면
cd /lib/systemd/system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cd명령은 해당 디렉토리(파일)로 이동해라
/lib/systemd/system는 lib안에있는 디렉토리 systemd디렉토리의 안에있는 system디렉토리를 뜻한다
ls -l 은 현재위치의 디렉토리의 내용들을 출력해주는 명령어이고 뒤에 파일이름을 붙이면 해당 파일이름과 일치하는 파일들만 출력해준다
ls -l 뒤에 파일이름을 추가해주면 해당 파일을 찾아준다
만약 찾는 파일이 여러개인데 비슷한 이름을 가진경우 ?를 사용하면 여러개의 파일을 한번에 출력할 수 있다
위에 사진처럼 runlevel 까지는 똑같다 하지만 뒤에 숫자(0,1,2,3,4,5,6)이 다르다 이 경우 숫자위치에 ?를 넣으면 한번에 여러개를 찾을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디렉토리 구조 (0) | 2019.06.30 |
---|---|
자동종료,재부팅(리눅스) (0) | 2019.06.30 |
리눅스(Linux) 란? (0) | 2019.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