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

AWS EC2(아마존 웹 서비스)

ELASTIC COMPUTE CLOUD의 약자이다

ELASTIC은(탄력적) 필요에 따라서 탄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버의 자원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것을 나타낸다

COMPUTE는 컴퓨팅 또는 서버 리소스를 뜻하며

*Application Server

*Web Server

*Database Server

*Game Server

*Mail Server

*Media Server

*Catalog Server

*File Server

*Computing Server

*Proxy Server

*Etc.

등등 기능을 할 수 있다

 

CLOUD는 클라우드에서 호스팅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상화 서버를(virtual Server) 인스턴스라(Instance) 부른다

 

특징

EC2의 특징은

-1개에서 수천 개의 인스턴트 또는 수천개에서 수십 수백으로 줄이고 늘리는 탄력성이 있다

-모든 공개된 AWS 리전에서 사용가능

(AWS가 운영하는 리전이 있는곳이면 멀리있는 다른 국가라도 서버를 운영할수 있다)

-인스턴스의 생성,시작,수정,중단,삭제가 가능하다

-리눅스/윈도우 OS모두 사용가능하며 모든 소프트웨어를 설치 가능하다

-사용량에 따른 시간 단위 비용이 든다

EC2의 요금은 Pay as you go 이다

즉 사용한 만큼만 돈을 내는 것 이다

EC2를 종료할 경우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양한 비용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온디맨드 , 예약 , 스팟)

 

 

비용타입

EC2는 다양한 비용 타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온디맨드 (on-demand) - 필요할 때 바로 생성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시간당 비용을 지불한다

(서버를 자주 삭제 또는 생성하는 환경일때 좋다)

 

 

예약(Reserved) - 1년 또는 3년의 기간에 대한 약정을 정해서 온디맨드보다 저렴한 비용을 지불한다

(장기적으로 변경없이 사용하는 경우일때 좋다)

 

스팟(Spot) - 경매방식으로 자신이 원하는 사양을 선택후 원하는 비용을 입력하면 된다 가장 높은 가격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인스턴스를 할당한다

 

만약 내가 입찰에 성공하여 스팟 인스턴스를 사용중인데 다른 사용자가 더 높은 금액을 부를 경우 2분 정도의 경고 시간을 가지고 인스턴스가 종료된다

 

최대 입찰 금액이 정해져 있으며 온디맨드 가격보다 높게 부를순 없다

(단기적인 작업이나 불시에 중단되어도 상관없는것을 할때 좋다)

 

 

 

EC2를 만드는 방법은

 

 

1. AWS아마존에 접속

https://aws.amazon.com/ko/

 

2.콘솔에 로그인 한다(계정 필요)

 

3.운영할 리전(호스팅할 위치) 선택한다

 

4.상단에있는 서비스를 클릭후 -> 컴퓨팅목록의 EC2클릭

 

5.인스턴트 시작버튼을 누르면 된다

(비용타입중 예약 인스턴스나 스팟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인스턴스목록의 예약 인스턴스또는 스팟 요청을 클릭하면된다 - 이 글은 온디맨드( On-Demand )타입의 구매옵션을 선택한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6.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선택하면 된다

(이 글에서는 Amazon Linux를 사용하겠다 만약 내가 원하는 소프트웨어가 없을 경우 AWS Marketplace를 클릭하여 원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다)

 

7.필요한 하드웨어 스펙을 선택하면 된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범용타입(M) , 컴퓨팅 최적화(C) , 스토리지 최적화( I , D ) ,

GPU 최적화(G) , 메모리 최적화(R) 타입이 있으며 목적에 따라 원하는 타입과 사양을 선택하면 된다

 

8.EC2의 세부 구성 화면이다

*인스턴스 개수- EC2를 몇개를 만들지 결정한다(1개면 1개 , 2개면 2개 동시에 만들수 있는 인스턴스의 갯수는 10만개이다)

 

*Auto Scaling - 서버의 특정 조건에 따라서 서버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로 서버의 사용량이 많은 경우 추가로 생성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서버를 자동으로 삭제할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이다

 

*스팟 인스턴스- 경매방식으로 시간당 지불금액을 제일 높게 부른 사람이 입찰에 성공한다

 

*네트워크 - 지금 생성중인 인스턴스를 어느 VPC에 할당을 할지 정한다

(VPC(Virtual Private Cloud)는 사용자의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이다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인트라넷(IntraNet)이다

 

회사 내부에서만 사용가능한 네트워크라고 보면 된다

 

같은 계정에 여러 VPC가 있고 IP대역이 같더라도 서로 통신이 안된다

 

외부로 통신을 하려면 게이트웨이를 설정하고 퍼블릭IP가 있어야 된다

또는 VPC끼리 통신을 하려면 AWS에서 지원하는 피어링(Peering)기능으로 vpc끼리 연결을 하면 된다

 

*서브넷 - VPC에 할당된 서브넷을 고를수 있다

 

*퍼블릭 IP 자동 할당

-서브넷 사용 설정(비활성화)를 고를 경우 DHCP 주소가 제공된다

-활성화를 할 경우 퍼블릭 IP가 할당된다

-비활성화를 할 경우 퍼블릭 IP가 할당되지 않으며 외부 인터넷에서의 접속이 차단된다

 

주의할점은 VPC내에 퍼블릭 서브넷이 없는 경우 외부(인터넷)에서 접속이 불가능하다

외부에 공개하면 안되는 중요한 정보가 있는 것은 비활성화를 하여 외부에서 침입을 차단할수 있다

 

*배치그룹 -

(배치그룹은 EC2대시보드에서 배치그룹을 선택후 생성이 가능하다)

 

배치그룹은 3가지 종류가 있다

 

배치그룹을 사용하려면 리전과 가용영역이 일치해야 되고 다른 VPC라도 피어링 연결을 통해 배치그룹을 사용할 수 있다

(아무렇게나 배치그룹을 배정할수는 없고 종류마다 규칙 및 제한사항이 있다)

 

클러스터 그룹은 같은 리전안에서 근접하게 그룹으로 묶어둔다는 의미이다

VPC내에서 자주 통신하는 인스턴스간에 클러스터 그룹으로 묶으면

네트워크 지연시간 단축 , 높은 초당 패킷처리량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권장사항으론 동일한 유형의 인스턴스를 권장한다)

 

 

파티션 배치그룹은 논리적인 파티션에 분산한다

예를들어 A파티션그룹과 B파티션 그룹을 만들었다고 가정했을때

A파티션에 있는 인스턴스는 AWS의 1번랙(물리적인 하드웨어 장비)을 사용하고

B파티션에 있는 인스턴스는 AWS의 2번랙(물리적인 하드웨어 장비)을 사용하여

만약 AWS에 문제가 생겨 1번 랙이 고장이 발생하여도 A파티션에만 장애가 발생하고 B파티션까지 장애가 퍼지지 않게 한다

 

 

분산형 배치그룹은 인스턴스를 개별로 서로 다른 랙에 할당하는 것 이다

인스턴스마다 서로 다른 랙에 있기 떄문에 인스턴스끼리 하드웨어적인 에러에 대한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파티션 그룹과 분산형 배치그룹으로 안정성을 가지는것 보다는 기존에 있는 가용영역말고 다른 가용영역에 똑같은 인스턴스를 만들어 이중화 구성을 하는 것이 더 안전성이 있어 보인다

일시적인 장애면 몰라도 화재나 지진같은 경우 같은 건물전체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서로 떨어져있는 가용영역을 선택하는 것이 좀 더 안정성이 있어보인다 물론 추가비용이 필요하겠지만...)

*그룹배치 기능은 무료이다

 

 

*용량 예약은

위에서 설명한 비용타입에 있는 용량 예약과 다르다

리전,가용영역에서 용량 예약하는(영역 RI ,리전 RI) 경우와 온디맨스 용량 예약의 차이점은

 

용량 예약

영역 RI

리전 RI

기간

약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필요할 때마다 생성하거나 취소할 수 있습니다.

고정 1년 또는 3년 약정이 필요합니다.

용량 혜택

특정 가용 영역에서 용량을 예약합니다.

특정 가용 영역에서 용량을 예약합니다.

가용 영역에서 용량을 예약하지 않습니다.

결제 할인

결제 할인이 제공되지 않습니다. 용량 예약으로 시작된 인스턴스는 스탠다드 온디맨드 요율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하지만 리전 RI를 용량 예약과 함께 사용하면 결제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제 할인을 제공합니다.

인스턴스 제한

리전당 온디맨드 인스턴스 제한으로 제한됩니다.

가용 영역당 20으로 제한됩니다. 제한 증가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리전당 20으로 제한됩니다. 제한 증가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온디맨스의 용량 예약에 대한 제약으로는

활성 및 미사용 용량 예약 수는 온디맨드 인스턴스 제한에 포함된다

용량 예약은 AWS 계정 간에 공유할 수 없다.

용량 예약은 한 AWS 계정에서 다른 AWS 계정으로 이전할 수 없다

영역 RI 결제 할인은 용량 예약에 적용되지 않는다

배치 그룹에서는 용량 예약을 생성할 수 없다

용량 예약은 전용 호스트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이것도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온디맨드의 용량 예약을 사용할 필요성이 없어보인다

 

리전이나 가용영역에서 용량 예약을 하는 경우가 비용이 저렴하고

굳이 활용하자면 특정 기간동안만 EC2를 사용하고 삭제해야 되는 경우

예약 기간이 자유로운 온디맨드 용량 제안을 사용하여 특정 시간이 되면 삭제가 자동으로 되는거 빼고는 장점이 없어보인다

(EC2삭제는 클릭 몇번이면 삭제가 가능해서 일정기간 운영 후 자동삭제가 장점이라고 보기 힘들다)

 

 

*종료 방식

말 그대로 종료 방식을 정한다

중지 와 종료가 있으며

중지를 하면 EC2를 멈추는것이지만

종료를 하면 EC2가 삭제된다

 

*종료 방지 기능 활성화

실수로 삭제를 하는 경우를 방지한다

이것을 활성화하면 삭제가 불가능하고 삭제하고 싶다면 EC2수정버튼을 눌러 종료방지 기능을 해제를 해야된다

 

*모니터링 (추가 비용이 든다)

모니터링을 활성화 하면 추가비용을 지불하고 Amazon CloudWatch의 세부 모니터링을 사용한다

(체크를 안하더라도 CloudWatch는 사용이 가능하고 단지 CloudWatch의 세부 모니터링을 한다면 5분간격으로 정보를 수집하던것을 1분간격으로 세세하게 알려주고

CloudWatch의 기능을 좀더 편하게 사용하는 정도)

 

CIoudWatch의 기능으로는

 

-수집

로그를 수집한다

CPU 사용률, 데이터 전송 및 디스크 사용량 지표를 수집한다

CIoudWatch 내장된 지표를 통해 지연시간을 탐지하거나 오류와 병목현상을 탐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지표를 통해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모니터링

Amazon CloudWatch 대시보드를 사용하면 지표와 로그 데이터를 동시에 그래프로 확인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지정한 지표나 CPU 사용률, 데이터 전송 및 디스크 사용량 지표등등 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경보 , 알림기능

각 지표에 대한 경보와 알림을 생성이 가능하다

미사용 인스턴스 또는 사용률이 낮은 인스턴스를 탐지하고 종료하도록 설정하거나 알림을 설정할 수 있다

지표 및 이벤트에 대해 실시간 경보 및 알림 사용이 가능하다

 

-조치

특정 지표에 대한 알림을 받으면 Auto Scaling 작업을 트리거하도록 설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CPU 사용률 지표를 기반으로 EC2 인스턴스를 추가 또는 제거하도록 Auto Scaling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CloudWatch Events

CloudWatch Events기능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에서 관심이 있는 이벤트가 무엇인지와 규칙이 이벤트와 일치할 때 자동으로 수행할 작업을 나타내는 규칙을 작성하기만하면 자동으로 지정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 및 보존 기간

일정기간동안 지표 데이터(스토리지 및 보존)를 저장하여 추세와 계절적 변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테넌시 (전용 테넌시를 사용시 추가 비용이 든다) (공유는 X)

공유 인스턴스 , 전용 호스트 , 전용 인스턴스를 지정한다

 

3가지중

공유 인스턴스가 비용이 가장 저렴하고

전용 인스턴스가 가장 비싸다

 

전용 호스트는 요금책정이 사용시간당이 아니라

생성후 부터 계속 요금이 발생한다

 

쉽게 비유하자면

 

전용 인스턴스와 전용 호스트는 단독주택이고

공유 인스턴스는 아파트이다

 

전용 인스턴스와 전용 호스트를 사용하면 AWS사의 1개의 하드웨어장비를 혼자 사용하고

공유 인스턴스를 사용하면 AWS사의 1개의 하드웨어장비를 여러명이서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전용 장비를 사용하면 좋은점이 1개의 물리적 장비에 여러 사람이 사용하면 내가 조금 사용한다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면 장비에 부담이 가 전체적인 성능이 떨어질수 있다

 

하지만 혼자 사용하면 내가 사용한 만큼만 장비에 영향이 가기때문에 안정적인 성능이 보장된다

 

 

전용 인스턴스와 전용 호스트의 차이점

 

전용 호스트

사용중이던 기존 라이센스를 공유할 수 있다

(Windows Server, Microsoft SQL Server,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등 기존 소켓당, 코어당 또는 VM당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사용할 수 있다)

 

전용 호스트은 AWS사의 하드웨어 장비를 임대하는것이다

(사용중인 전용 물리서버를 전용 호스트를 해제하기 전까지 계속 사용가능)

용량을 늘리는등 스펙을 변경하기가 힘들다

(호스트 해제하고 다시 할당해야된다)

 

전용 인스턴스는 내가 사용하고 싶을때 AWS사의 하드웨어 장비중 랜덤으로 사용중이지 않은 장비를 쓰는 것 이다

(전용 물리서버이긴 하지만 인스턴스를 중지 후 다시 실행했을때 전에 실행했던 똑같은 장비에서 실행이 안될 수 있다 - 혼자 사용하기는 하지만 그때 그때 실행중인 장비가 바뀔 수 있다)

추가요청을 통해 스펙을 바꿀수 있다

 

 

비용적인 측면

전용 호스트는 인스턴스를 생성하자마자 비용이 발생하며 중지상태에도(삭제x) 지속적으로 비용이 발생한다-(장비 자체를 대여)

전용 호스트를 할당해제해야 비용이 청구되지 않는다(삭제)

 

전용 인스턴스는 사용중일때만 비용이 발생하며 중지상태일때는(삭제x) 비용이 청구되지 않는다

전용 호스트를 사용하면 실제 물리적은 스펙을 [CPU 코어 및 소켓 숫자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되어 실제 하드웨어와 같은 라이센스를 취득 및 활용할 수 있다]

특성

전용 인스턴스

전용 호스트

전용 물리적 서버 사용 가능

X

X

인스턴스 결제당(리전당 2 USD의 비용이 적용됨)

X

 

호스팅 결제당

 

X

소켓, 코어, 호스트 ID에 대한 가시성

 

X

호스팅과 인스턴스 간의 선호도

 

X

인스턴스 배치 지정

 

X

자동 인스턴스 배치

X

X

할당 요청을 통해 용량 추가

 

X

 

전용 호스트 장단점

장점

기존 기업들이 사용하던 라이센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인스턴스가 물리적 서버에 배치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제어와 가시성을 제공하고 시간이 지나더라도 계속 같은 물리적 서버에 인스턴스를 배포한다

 

단점

AWS기능을 일부 사용할수 없다

RHEL, SUSE Linux 및 Windows AMI(AWS 또는 AWS Marketplace에서 제공)는 전용 호스트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

Amazon EC2 인스턴스 복구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전용 호스트에서 실행되는 인스턴스는 VPC에서만 시작할 수 있다

Auto Scaling 그룹은 지원되지 않는다

Amazon RDS 인스턴스는 지원되지 않는다

배치 제어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Elastic Inference(추가 비용이 든다)

딥러닝 기반으로 스스로 데이터의 패턴과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처리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나누어 CPU나 GPU에게 분배한다

 

CPU와 GPU의 차이점

CPU는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는데 유리하다

GPU는 간단한 연산을 하는데 유리하다

 

예를들자면

CPU는 대학생이 1명(소수)존재하고

GPU는 초등학생이 10000명(다수)존재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1+1같은 단순 연산이 1만개를 풀어야 된다고 생각해보자

CPU는 1+1을 1만번을 풀어야 되지만

GPU는 1+1을 1번씩만 풀어도 된다 (인원이 1만명이니 1번씩만 풀면 된다)

 

반대로 대학생 수준의 공업수학을1문제 푼다고 가정해보자

 

CPU는 어렵긴 해도 풀수는 있다

하지만 GPU는 초등학생이라(일반적인) 문제를 해결하기가 힘들다

 

이렇게 간단한 연산은 단순하지만 코어수가 많은GPU가 유리하고(논리적 코어)

복잡한 연산은 코어수가 적지만 똑똑한 CPU가 유리하다

 

좀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병행성이 높은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는 CPU가 좋고

병렬성이 높은 연산을 처리하는 데이터는 GPU가 좋다

 

병행성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는 연산이고

예: A=1 , B = 2 일때 C = A+B , D = C+B일때 D 값을 구하려면 C값을 먼저 계산해야된다

 

병렬성은 서로 관계가 없어 따로 계산해도 되는 연산이다

예:A=1 , B = 2 , C = 3 , D = 4일때 E = A+B , F = C+D같은 경우는 E와F의 연관관계가 없어 따로 계산해도 문제가 풀린다

 

만약 내가 사용하는 서버가 병렬연산이 많다 하면 CPU를 추가하기보단 Elastic Inference를 사용하여 GPU를 추가하는 것이 좋다

(CloudWatch 지표기능을 사용하여 사용량을 분석 후 CPU나 GPU를 추가하는것이 좋다)

 

 

 

*T2/T3 무제한(추가요금 발생가능성 있음)

만약 CPU사용률이 급증한다면 운영에 차질이 생길수 있다

하지만 T2/T3기능을 키면 CPU사용량이 급증하더라도 CPU사용량이 초과할때만 CPU를 확장해서 CPU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CPU사용량이 초과되서 추가 CPU를 사용할때 비용발생)

T2가 기본설정이고 T3를 사용하려면 설정을 바꿔야된다

(여기서 T2 , T3는 인스턴스 유형이다)

 

 

예측이 불가능한 서비스를 운영할때 T2/T3기능을 키면 CPU사용률에 대한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지만 관리적인 측면에서는 좋은 방법은 아니다

 

Auto Scaling기능을 사용하여 좀더 세밀하게 지표유형을 정하여 필요에 따라 늘리거나 축소가 가능하고 알림이나 경보기능을 추가 할 수 있다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Auto Scaling이 더 싸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를 추가버튼을 누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추가하여

eth0포트는 퍼블릭IP를 할당하여 외부 인터넷과의 트래픽을 처리하고

eth1포트는 프라이빗IP를 할당하여 내부 VPC와 트래픽을 처리하게 만들수 있다

*고급 세부 정보

인스턴스 시작시 실행할 스크립트를 쓸수 있다

 

 

9.스토리지 추가는

말 그대로 스토리지(저장소)를 추가하거나 크기 , 볼륨 유형등을 지정할 수 있다

 

10.태그 추가

태그추가는 말 그대로 꼬리표를 추가하는 것이다

만약 자신이 많은 인스턴스를 관리한다면 꼭 용도를 설명하는 태그를 추가하는것이 좋다

태그는 인스턴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내가 관리하는 인스턴스가 너무 많을떄

검색창에 태그를 검색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11.보안 그룹 구성

인스턴스에 대한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화벽이라고 보면 된다

허용하고 싶은 트래픽을 설정하면 된다

현재 화면에는 인바운드(들어오는)트래픽만 설정할 수 있지만

서비스 -> EC2 -> 보안그룹을 클릭하여 인바운드 , 아웃바운드 모두 설정이 가능하다

 

 

 

12.검토

이제까지 설정한 내용들을 볼수있다

설정한 내용이 맞다면 시작하기를 누르면 된다

 

13.키 페어

시작하기를 누르면 키 페어를 생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SSH연결방식은 암호키를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암호키를 생성해야 한다

 

원하는 키 페어 이름을 쓰고 키 페어 다운로드를 클릭하면 다운로드가 된다

(키 페어를 분실하면 재발급이 안되니 관리에 주의하자)

 

 

14.EC2접속

1~5분정도 기다리면 인스턴스 상태가 running으로 바뀐다

 

퍼블릭 IP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IP이고 프라이빗 IP는 AWS내 VPC내부와 통신하기 위한 IP이다

 

접속을 위해 PuTTY라는 무료 프로그램을 사용하겠다(인터넷에 검색하면 다운받을수 있다)

 

PuTTY파일내에 puttygen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puttygen에서 Load버튼을 클릭 후 다운받은 키 페어를 클릭한다

키 페어를 찾을때는 형식을 All Files형식으로 바꾸고 찾아야된다

(다운받은 키 페어는 [키페어 이름].pem이다]

열기를 누른 다음 Generate를 누르면 PuTTY를 이용하여 SSH접속을 하기위한 보안키가 생성된다

 

 

PuTTY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PuTTY를 실행후 Host Name에 접속하려는 EC2의 퍼블릭 IP를 입력한다

(EC2의 퍼블릭IP는 AWS접속 -> 서비스 -> EC2 -> 인스턴스 -> 확인하고싶은 인스턴스 클릭을 하면 설명 목록에 정보가 나온다- 글 위쪽 14.EC2접속 사진을 참고)

 

호스트 네임을 입력후 Auth를 클릭한다

Browse 버튼을 클릭하여 puttygen 에서 변환한 키 파일을 오픈한다

 

 

 

등록을 하였다면 하단에 있는 Open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밑의 사진은 접속에 성공한 화면이다

login as :

창이 뜨면 ec2-user 를 입력하면 접속이 가능하다

 

 

만약 접속이 안된다면 대부분 보안정책(방화벽)에 막힌 경우이다

EC2 인스턴스로 들어가 보안그룹을 눌른다

 

보안그룹에서 인바운드(들어오는 트래픽)규칙을 확인하면 된다

밑의 사진의 인바운드 규칙이라면 SSH의 22포트 설정이 없기 때문에 접속이 차단된다

 

 

편집을 눌러서 규칙을 추가하자

 

만약 SSH의 인바운드 규칙을 추가했는데도 SSH를 이용한 접속이 안된다면

 

EC2에 퍼블릭 IP가 할당되었는지

 

내가 사용중인 네트워크가(회사같은 관리자가 운영하는) SSH의 22포트를 아웃바운드(밖으로 나가는 트래픽)을 차단했는지 확인해보면 된다

 

*EC2는 running상태일떄 비용이 발생하니 필요하지 않다면 삭제하거나 중지를 시키는것이 좋다 - 인스턴스 마우스 우클릭-> 인스턴스 상태

 

*이 글에서 사용한 EC2는 예시용으로 만들어진 것 이라 삭제한 상태이며 해당IP로 접속시도를 해도 접속이 안됩니다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EC2 인스턴스에서 ROOT 계정을 활성화  (0) 2019.06.30
AWS 기능 (아마존 웹 서비스)  (0) 2019.06.30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0) 2019.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