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의 배열
배열은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배운것과 차이는 없었다
코드스테이츠 부트캠프의 배열 챕터는 알고있는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아서 복습하는 의미가 크다
일딴 배열의 특징으로는 배열의 특징은 인덱스(index)로 배열안의 요소를 찾아내거나 변경할 수 있는 특징이 있고
length 속성을 사용하면 배열의 길이를 알 수 있다
위의 내용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가지는 배열의 공통된 특징같았다
(적어도 내가 배운 언어에서는 모두 일치했다)
몰랐던 부분은 내장함수부분이였는데
아무래도 언어마다 내장함수가 다르고 같은 기능을 하더라도 이름이 달라서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를 하였다
배열에서 사용하는 내장함수로는
- split(), join(), slice(), splice(), Array.isArray(), push(), unshift(), pop(), shift(), indexOf(), includes()
가 있고
과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배열의 내장함수를 사용했었는데
제일먼저 사용한 함수가
Array.isArray()는 인자값으로 변수를 넣으면 해당 변수가 배열인지 검사해주는 타입검사용 내장함수였고 이것을 이용해 배열인지 검사하는 문제를 해결했다
그 다음으로 사용한 내장함수가
const str =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const words = str.split(' '); // words는 배열이 되고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띄어쓰기 기준으로 나뉘어 배열의 요소가 됩니다
문제중 상당한 부분을 split()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배열로 바꾸고 문제를 해결하였다
unshift()는 인자값으로 추가하고싶은 요소를 입력하면 배열의 맨 앞에 추가해주고
shift()는 배열의 제일 앞 요소를 제거해주고 반환해주는 함수였다
join(), // 배열의 모든 요소를 연결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듭니다.
slice(), // 모든 요소를 연결해 하나의 문자열로 만듭니다
splice(), // 배열의 기존 요소를 삭제 또는 교체하거나 새 요소를 추가하여 배열의 내용을 변경합니다
Array.isArray(), // 메서드는 인자가 Array인지 판별합니다.
push(), // 배열의 끝에 하나 이상의 요소를 추가하고, 배열의 새로운 길이를 반환합니다
unshift(), // 새로운 요소를 배열의 맨 앞쪽에 추가하고, 새로운 길이를 반환합니다
pop(), // 메서드는 배열에서 마지막 요소를 제거하고 그 요소를 반환합니다
shift(), // 배열에서 첫 번째 요소를 제거하고, 제거된 요소를 반환합니다
indexOf(), // 메서드는 배열에서 지정된 요소를 찾을 수 있는 첫 번째 인덱스를 반환
includes() // 배열이 특정 요소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