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23)
25. Telnet (텔넷) (7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7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Telnet (텔넷) 인터넷 사용자는 텔넷을 이용하여 전세계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물론 다른 컴퓨터에 접속하려면 그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번호와 비밀번호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 텔넷 응용서비스가 매우 효과적인 이유는 거리에 관계없이 쉽게 원격시스템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이다. 텔넷도 다른 TCP/IP 프로토콜의 인터넷 응용서비스들과 마찬가지로 모두 고유의 포트번호를 가지고 있는데 텔넷은 23번이라는 고유 포트번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는 이 번호를 사용하지만 특별한 게임이나 채팅 등의 서비스 제공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디버깅을 위해서 별도의 포트번호를 사용할 수도 있다.
24. 원격접속 프로토콜 (telnet,SSH,FTP,SMTP,HTTP등등...) (7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원격접속 프로토콜 네이버,다음,구글,페이스북등등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거나 쇼핑하거나 게임하는것 모두 모두 원격접속이라 할 수 있다 (현실에서 직접 해당 사이트를 운영하는 서버장치에 연결해서 사용하지 않고 집이나 PC방같은 멀리 떨어져있는 위치에서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 원격접속에 연결하려 할때 주의할점은 1. 접속하려는장비나 내가 사용하고 있는 장비에 둘다 게이트웨이가 있는지 확인 (다른 네트워크대역에서 원격접속할때 필요함) 2.원격접속타입과 포트가 보안(방화벽)에 차단되는지 확인 (접속하려는 대상과 내가 사용하는 대상 모두 확인필요) 3.보안을 위해 보안키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보안키가 필요한지 확인 밑에 사진은 AWS 아마존 웹 서비스를..
23. 7계층 Application Layer(응용 계층) (7계층 Application Layer 응용 계층)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 프로그램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HTTP라는 응용계층 프로토콜은 응용 프로그램인 웹(Worldwide Wed) 브라우저(browser)에게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때 사용한다. 대표적인 응용계층프로토콜로는 원격 접속을 위한 텔넷(Telnet), 파일전송을 위한FTP,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시켜주는 DNS, 메일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인 SMTP등이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원격접속을 이용하여 전세계의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7계층 응용계층 서비스들은 고유의 포트번호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절대적인것은 아니며 관리자들이 변경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이 번호를 사용하지만 특별한 게임이나 채팅 등의 서비스 제공..
22. UTF-8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UTF-8 (Universal Coded Character Set + Transformation Format – 8-bit) 의 약자이다 과거에는 ASCII 코드를 표준으로 삼고 사용했었다. 하지만 ASCII 코드는 미국에서 정의한 표준이기 때문에 표현할 수 있는 문자는 알파벳과 그 확장형인 몇 가지 기호들만을 포함했다. 더군다나 1바이트라는 크기로 만들어져서 다른 나라의 언어를 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알파벳을 제외한 세계 다른 언어들은 모두 깨져서 표현되었다. 그래서 나타난 것이 "유니코드"이다. 2바이트의 넉넉한 크기와 함께 65,536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1바이트만으로 충분히 표현할 수 있었던 ASCI..
21. 유니코드(unicode)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유니코드(unicode) 각 나라별 언어를 모두 표현하기 위해 나온 코드 체계가 유니코드(unicode)다. 유니코드는 사용중인 운영체제, 프로그램, 언어에 관계없이 문자마다 고유한 코드 값을 제공하는 새로운 개념의 코드다. 언어와 상관없이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표현하므로 최대 65,536자를 표현할 수 있다. 유니코드 표준은 애플(Apple), HP, IBM, 썬(Sun), MS, 오라클(Oracle)과 같은 업계에서 채택되었으며, XML, 자바, ECMAScript, LDAP, CORBA 등의 표준에서 사용되고 있다.
20. ASCII (아스키 코드)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ge) ASCII 코드(아스키 코드) ASCII(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ge) 코드 표는 1960년대에 문자를 숫자로 표현하기 위하여 정한 표이다. 십진수 0 ~ 127에 대응하는 각각의 문자를 정의하여 컴퓨터, 통신장비 등에 이용되었다. ASCII 코드는 128개의 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7bit가 필요하며(2^7 = 128), 33개의 제어문자(space 포함)와 95개의 인쇄가능한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ASCII 코드는 2007년 12월 ASCII 코드로부터 파생된 UTF-8 이 ASCII 코드를..
19.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6계층 Presentation Layer 표현 계층) 데이터의 표현과 암호화 및 코드 간의 번역을 담당한다. 즉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구조를 하나의 통일된 형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응용 계층의 데이터 형식 차이로 인한 부담을 덜어준다. 예를 들어 시스템 A에서는 ASCII 코드를 사용하고 시스템 B에서는 EBCDIC를 사용한다면, 시스템 A의 표현 계층에서는 OSI 표준 표현 방식으로 변경하여 전송하고 시스템 B에서는 이를 자신의 시스템에 맞게 재구성한다. 이러한 표현 방식을 ASN.1(Abstract Syntax Notation 1)이라 한다. ASN.1 방식은 응용 프로그램 계층 간에 서로 다른 표현을 상호 인식하기 위해 정보를 정의하고 데이터의 압축과 암호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데이터 압..
18. 5계층 Session layer 세션 계층 5계층 Session layer 세션 계층 응용프로그램강의 대화를 유지하기위한 구조제공을 한다 세션(통신)의 시작과 종료의 관리절차 등을 정의한다 세션계층 이상에서 송수신하는 데이터의 단위를 메시지(message)라고 한다 세션계층 주요 기능 1.접속 설정 및 해제 세션을 설정 및 해제하는 기능 2 다중화 여러 세션들이 효율을 높이기 위해 1개의 같은 전송계층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1개 세션이 속도 등을 위해 다수의 전송계층 접속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송계층 에서와 같이 세션 계층에서도 상향,하향 다중화가 가능하다 3. 데이터 교환 OSI는 데이터를 4가지 범주로 구분한다 정보 데이터, 급송 데이터, 제어 데이터, 세션 파라미터 협상에 사용되는 데이터 3. 세션계층은 토큰을 사용함으로써..
17. TCP 와 UDP 차이점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TCP 와 UDP 차이점 TCP는 연결 지향형 프로토콜로, 수신 측이 데이터를 흘려버리지 않도록 데이터 흐름 제어(Flow Control) 및 전송 중 에러가 발생할 경우 자동으로 재전송하는 에러 제어(Error Control)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확실한 전송을 보장한다. 또 다른 4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인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TCP와는 달리 데이터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신뢰성이 매우 높은 회선을 사용하거나, 혹은 데이터의 확실한 전송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한 번에 많은 상대에게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송 경로 확립을 위한 번잡함을 생략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어..
16. UDP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4계층 Transport Layer전송 계층) UDP(User Datagram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중 중 구조가 가장 간단하다. 하부의 IP 프로토콜을 이용해 비연결형 서비스 지원하는 UDP는 작지만 빠른 전송이 가능하다 *특징 • 비연결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헤더와 전송 데이터에 대한 체크섬 기능을 제공한다. • Best Effort 전달 방식을 지원한다. UDP는 상위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IP 프로토콜에 전달하지만 전송한 데이터그램이 목적지까지 제대로 도착했는지는 확인하지 않는다. 따라서 TCP보다 신뢰성이 떨어져 일반 응용 프로그래머가 덜 선호한다. 하지만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기능이 작아 TCP보다 데이터 처리가 ..